유아는 ‘보는 존재’가 아닌, ‘비춰지는 존재’로 자라고 있다
현대의 유아는 세상을 ‘읽는’ 것보다 ‘보는’ 방식으로 경험하고 자란다.
책보다 유튜브, 질문보다 영상, 상상보다 화면으로 자극을 받는 시대에,
아이들은 주변 환경을 해석하기보다 먼저 받아들이고 반응하는 방식에 익숙해진다.
여기서 놓치기 쉬운 점은 바로 이 시기의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는 것이다.
유아기(만 3세~6세)는 자아개념(self-concept), 즉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기 이미지와 감정의 기초가 만들어지는 결정적 시기다.
그런데 이 중요한 시기에 아이가 자주 마주하는 세상이 ‘영상 콘텐츠 중심 환경’이라면,
아이의 자아 형성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영상 환경이 유아의 자아 형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외적 평가 중심의 자기 이미지 강화]
영상 콘텐츠 속 인물, 유튜브 키즈 크리에이터, 캐릭터들은 대부분
- 예쁘거나
- 똑똑하거나
- 인기를 끌고 있는 존재로 묘사된다.
이런 자극을 반복적으로 접하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예뻐야 사랑받는다”, “많이 봐야 잘하는 것이다”라는 외적 기준 중심의 자아 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
[타인의 시선으로 나를 인식하는 습관]
셀카 찍기, 영상 찍기, ‘좋아요’ 숫자에 집착하는 환경은
아이에게 “나는 남이 볼 때 어떤 사람인가?”라는 관점에 익숙하게 만든다.
이는 자아 개념이 내면의 감정보다 외부의 반응에 따라 형성되는 왜곡된 자아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감정 표현보다 이미지 표현에 집중]
영상 중심 환경에서는 ‘표정’, ‘말투’, ‘액션’이 강조되다 보니,
아이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때 내면보다 외형 중심 표현에 치우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예: “기분이 나빠요”가 아닌 “나 울 거야!”, “화난 척!” 같은 표현을 더 자주 사용
유아의 건강한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실천 전략
부모와 교사는 아이가 영상 환경 속에서도
자기 자신을 건강하게 인식하고, 내면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갖도록 도와야 한다.
다음은 실천 가능한 전략들이다.
[비교보다 공감 중심 대화하기]
“이 친구는 장난감을 잘 가지고 놀았어” 대신,
“너는 어떤 장난감을 제일 좋아해?”, “그럴 땐 어떤 기분이 들어?”처럼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중심에 두는 질문을 던지자.
효과: 아이는 자신이 누구인지 ‘비교’가 아닌 경험과 감정을 통해 정리하는 힘을 기르게 된다.
[영상을 본 후 자기 감정 정리 활동하기]
- “어떤 캐릭터가 제일 좋았어? 왜?”
- “너는 저런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 것 같아?”
→ 이런 질문을 통해 아이는 외적 요소가 아닌 자기 감정을 인식하고 말하는 훈련을 하게 된다.
[보여지는 나’가 아닌 ‘느끼는 나’를 표현하게 하기]
아이에게 영상 찍기보다
- 자신의 기분을 그림으로 그리기
- 놀이 후 기분 말하기
- “오늘 내가 기분 좋았던 순간 1가지 말하기”
같은 활동을 제시하면, 아이는 외적 이미지보다 내면 경험 중심의 자아를 정리하는 연습을 하게 된다.
[캐릭터를 통한 자기 역할 대입 놀이 유도]
아이에게 “너라면 이 캐릭터처럼 행동했을까?”, “다르게 해볼래?”와 같은 놀이적 대화를 통해
자신을 이야기 속에 투영하게 만들면 다양한 시점에서 자기 자신을 보는 사고 훈련이 된다.
자아는 타인의 시선이 아닌, 경험과 감정 위에서 자란다
유아의 자아는 아직 말로 설명되지 않지만,
“나는 어떤 사람일까?”, “나는 왜 이런 기분이 들까?”라는 생각을 통해 조금씩 형태를 갖춰간다.
그런데 영상 중심 환경은 자칫 ‘보여지는 나’에만 집중하도록 만들 수 있다.
부모는 아이가 그런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감정, 가치, 판단을 중심으로 한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주 묻고, 듣고, 공감해주는 대화의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결국 영상 환경이 문제라기보다는,
그 환경을 어떻게 해석하고, 아이에게 어떤 자기 인식 기회를 제공하느냐가 핵심이다.
영상 중심의 시대에도 아이는 스스로 “나는 소중한 존재야”, “나는 이런 걸 좋아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info - c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캐릭터 모방 행동, 어떤 감정 상태의 신호일까? (2) | 2025.07.01 |
---|---|
유아가 미디어 영상에서 배우는 감정은 현실과 같을까? (0) | 2025.07.01 |
유아의 미디어 교육과 디지털 문해력, 언제부터 교육해야 할까? (0) | 2025.06.30 |
유아 미디어 교육과 부모의 역할 변화 (0) | 2025.06.30 |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과 유아 미디어 시청의 상관관계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