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 care

미디어 교육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알리미 news 2025. 7. 10. 06:00
반응형

“친구랑 놀 때 말이 없어요.” 이것도 미디어 때문일까?

유아기 사회성 발달은 부모와 교사 모두에게 민감한 주제일 것이다.
“친구가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어요.”
“혼자 노는 걸 좋아하고, 다가오는 친구를 피해요.”
“말은 잘하는거 같은데, 협력은 어려워해요.”

 

이처럼 대화, 협동, 감정 공유, 갈등 조절 등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사회성의 핵심이자, 유아기 발달의 중요한 지표이다.

 

그런데 요즘 아이들은
놀이보다는 미디어와의 1:1 상호작용에 익숙한 채 성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디어 교육은 사회성 발달에
과연 도움이 되는 도구일까, 방해가 되는 요소일까?

 


유아기 사회성 발달의 구조를 먼저 이해하고,
그 위에서 미디어 교육이 미치는 영향과,
실질적 교육 활용 전략
을 정리해 보았다.

 

미디어 교육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것도 미디어 때문일까?

 

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사회성은 단순히 친구와 어울리는 기술이 아니다.
그 안에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능력이 포함된다.

타인의 감정 인식 능력
의사 표현 능력 (언어, 표정, 행동)
역할 수용과 규칙 이해
갈등 상황에서 감정 조절력
공감과 배려를 기반으로 한 협동성

 

이 능력들은 반복된 대면 경험과 실패-성공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
특히 3~6세 유아는
또래 놀이와 역할극, 협력 활동을 통해
“나”와 “너”의 감정을 조절하며 관계 형성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미디어는 사회성에 어떤 영향을 줄까?

 

부정적인 영향 (일방적 사용 시)

요소  /  부작용

 

상호작용 결핍 TV, 유튜브처럼 일방향 콘텐츠에만 익숙해지면 실제 사람과의 대화에 어려움
감정 전달 방식 왜곡 자극적 표현, 과장된 반응을 모방하여 현실 상황에서 부적절한 감정 표현 가능성
대화 훈련 기회 감소 미디어 사용 시간 증가 → 실제 놀이 시간 감소 → 역할 교대, 대화 순서 등의 경험 축소
자기중심적 사고 강화 미디어는 항상 아이에게 맞춰주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조율 훈련 기회 부족
 

긍정적인 영향 (교육적 활용 시)

요소  /  긍정 효과

 

감정 공감 훈련 캐릭터의 감정 상황을 통해 타인의 감정 추론 연습 가능
역할 대화 학습 애니메이션 속 대화 구조 반복 → 대화 시작/응답/마무리 구조 습득
갈등 해결 모델링 “미안해”, “같이 놀자” 같은 긍정적 해결 언어를 학습 가능
협력 개념 습득 공동 목표(퍼즐 맞추기,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이야기 속에서 경험 가능
 

즉, 단순 시청은 사회성을 떨어뜨릴 수 있지만,
목적이 있고 해석 중심의 미디어 교육
오히려 사회성 발달을 자극할 수 있다.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미디어 교육 조건

 

아이가 사회적 행동을 미디어로부터 배우려면,
콘텐츠 자체보다 활용 방식과 구조가 중요하다.

※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미디어 콘텐츠 특징

항목  /  조건  /  이유

 

등장인물 간 갈등 구조 친구와의 갈등, 감정 충돌 장면 포함 감정 이해·해결 방식 학습 가능
대화형 표현 강조 “같이 하자”, “미안해”, “괜찮아” 같은 상호작용 중심 대사 일상 대화 표현 내면화
감정 명명과 설명 포함 “화가 나서 그랬어” 등 감정-이유 연결 정서 조절 및 공감 능력 자극
후속 놀이 연결 가능 시청 후 역할극·그림놀이 등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 훈련으로 연결됨
 

 

사회성 중심 미디어 교육 실천 전략

 

실제 가정이나 교육기관에서
사회성 발달을 자극하는 미디어 교육 실천 전략을 정리해 보았다.

첫 번째 전략 : ‘다시 말해보기’ 훈련

- 영상 속 친구가 했던 말을 아이가 다시 말해보게 한다.

 

예: “타요가 뭐라고 했더라?”, “너도 그렇게 말해본 적 있어?”

→ 말하기 표현력 강화 + 대화 흐름 이해 훈련

두 번째 전략 : ‘다른 반응 상상하기’ 질문하기

- 갈등 장면에서 “이 친구가 이렇게 말했으면 어땠을까?”
“다르게 말하면 무슨 일이 생겼을까?”

 

→ 대안 사고력 + 협력적 표현 발달 향상

세 번째 전략 : 역할 나누기 놀이로 연결

- 영상 속 등장인물을 각자 맡고, 역할극으로 장면을 재현하거나
새로운 상황 만들기 놀이 확장하기

 

→ 감정 표현, 순서 기다리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훈련에 효과적이다.

 

미디어 교육은 ‘관계’를 배우는 또 하나의 창

 

미디어는 단절의 도구가 아니라,
해석하고 연결할 수 있다면 관계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사회성은 책에서 배울 수 없다.
영상 하나만으로 길러질 수도 없다.


하지만 영상이 제공하는 감정, 대화, 관계의 구조
함께 해석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반복한다면
그 자체가 사회성 훈련의 확장된 장이 될 수 있다.

 

“같이 놀자”는 말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대사가 아니라,
아이의 입에서 친구에게 전해지는 순간,
미디어는 사회성 교육의 도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