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2

자막 없는 영상 시청이 유아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아이한테 유튜브 틀어줬더니 단어는 따라하는데,문장은 자꾸 엉켜요. 왜 그럴까요?”부모들은 아이가 유튜브나 OTT 콘텐츠를 보면서자연스럽게 말을 배우는 모습을 보며 놀라기도 한다.특히 인기 있는 키즈 콘텐츠나 노래 기반 영상은아이의 단어 습득을 빠르게 도와주는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에 비해문장을 완성하지 못하거나말의 어순이 뒤바뀌거나억양이 부자연스러운 현상이 자주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부모는 의문을 갖게 된다.“말은 빠른데, 왜 문장이 이상하지?”“어휘는 잘 아는데, 대화가 매끄럽지 않은 건 왜일까?”이런 문제는 단순히 언어 재능과는 관계가 없다.콘텐츠 소비 방식 중 ‘자막 없는 영상 시청’이유아의 언어 습득 방식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유아기 언어 발달은..

info - care 2025.07.15

유아기 스마트 학습보다 ‘느린 배움’이 필요한 이유

“태블릿으로 알파벳도 배우고 숫자도 읽는데,왜 책 읽는 건 싫어할까요?”많은 부모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조기 학습에 호기심을 갖는다.특히 교육용 앱은 색감, 사운드, 리듬 등아이의 흥미를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아이 스스로도 재미를 느끼고,부모는 그걸 ‘학습 효과’라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우리 아이는 벌써 영어 단어도 알아요.”“숫자 따라 읽는 건 앱 덕분에 가능해졌죠.”이런 상황은 겉으로 보기엔 매우 이상적이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문제가 생긴다.아이가 책을 멀리하기 시작하고,손으로 쓰거나 그리는 활동을 지루해하고,학습 상황에서 실수가 생기면 쉽게 포기하려 한다. 그제야 부모는 묻게 된다.“배우긴 배운 것 같은데, 왜 진짜 ‘생각하는 힘’은 자라지 않을까?”그 질문의 답..

info - care 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