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3

5세부터 가능한 미디어 리터러시 키우기 놀이 방법

“아이도 미디어를 읽을 수 있어요.” 리터러시는 글보다 감정에서 시작된다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TV나 유튜브 영상을 볼 때“무엇을 얼마나 오래 봤는지”에 집중할 것이다.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이 영상을 어떻게 해석했을까?”“아이 스스로 이 콘텐츠를 생각해볼 수 있었을까?”이다.5세 전후의 아이는 글자를 몰라도, 복잡한 설명을 듣지 않아도미디어를 ‘느끼고’, ‘모방하고’, ‘따라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갖을 수 있다. 이 시기는 미디어를 단순히 소비하는 단계를 넘어서스스로 해석하고, 감정과 연결하며, 표현해보는 능력,즉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초를 키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나는 교사경력만 11년이다.지금부터 5세 아이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놀이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키..

info - care 2025.07.10

부모-아이 간 미디어 소통법 : 질문과 대화의 기술

“그냥 조용히 보기만 했으면 좋겠어요.” 부모의 속마음, 아이는 알고 있다디지털 환경 속에서 아이는 하루에도 몇 번씩 스마트폰, 태블릿, TV를 접하고 있다.처음에는 “10분만 보자”고 시작했지만,어느새 “그만 보자”는 말로 갈등을 반복한다.많은 부모는 아이에게 미디어를 보여주면서도 불안해 할 것이다.“이게 교육이 되긴 할까?”,“그냥 조용히 시키려고 켜주는 것 같다.”하지만 미디어 사용을 ‘그만 보여주는 것’으로 해결하기보다‘어떻게 함께 해석하고 말할 것인가’에 집중하는 태도가아이의 언어 능력, 사고력, 감정 표현력을 확장시키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다.부모가 아이와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하면 건강한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그리고 그것이 왜 유아기의 발달에 중요한지를 심리 기반으로 설명하고실생활에서 ..

info - care 2025.07.10

미디어 교육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친구랑 놀 때 말이 없어요.” 이것도 미디어 때문일까?유아기 사회성 발달은 부모와 교사 모두에게 민감한 주제일 것이다.“친구가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어요.”“혼자 노는 걸 좋아하고, 다가오는 친구를 피해요.”“말은 잘하는거 같은데, 협력은 어려워해요.” 이처럼 대화, 협동, 감정 공유, 갈등 조절 등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은사회성의 핵심이자, 유아기 발달의 중요한 지표이다. 그런데 요즘 아이들은놀이보다는 미디어와의 1:1 상호작용에 익숙한 채 성장하고 있다.그렇다면 미디어 교육은 사회성 발달에과연 도움이 되는 도구일까, 방해가 되는 요소일까? 유아기 사회성 발달의 구조를 먼저 이해하고,그 위에서 미디어 교육이 미치는 영향과,실질적 교육 활용 전략을 정리해 보았다. 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info - care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