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3

유아가 반복해서 보는 영상, 감정 회피인지 감정 표현인지 구분하는 방법

“하루 종일 똑같은 영상만 봐요.왜 자꾸 반복해서 보는 걸까요?”많은 부모가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장면이 있다.아이에게 유튜브 키즈를 보여주면,새로운 영상을 찾기보다이미 본 영상, 그것도 같은 장면만 반복해서 보려 한다는 것이다. “어제도 그거 봤잖아. 또 봐?”“이 장면만 몇 번째야, 다른 거 보자.”부모는 자연스럽게 걱정을 하게 된다.혹시 중독은 아닐까?아니면 강박처럼 집착하는 걸까?그런데 중요한 건,이 반복이 반드시 부정적인 건 아니라는 점이다.유아기 영상 반복 시청은 ‘감정 회피’일 수도 있고,‘감정 표현의 시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두 가지는 전혀 다르다.하지만 겉으로 보기엔 매우 비슷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유아가 반복 시청에 집착하는 이유는 ‘감정 미완결 상태’ 때문일 수 있다 아이들은 복잡..

info - care 2025.07.14

보고 있는 줄 알았는데 듣고 있었다? 유아의 시청 집중 오해

“영상 보면서 왜 아무 것도 기억 못 하지?”'시선이 머문다고, 뇌도 함께 보는건 아니었어요.'많은 부모들은 아이가 TV나 유튜브를 보고 있는 모습을 보면‘집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눈은 화면을 향해 있고,몸은 조용히 가만히 있으며,말도 없이 영상에 몰입한 듯한 표정을 짓기 때문이다.하지만 영상이 끝난 후“아까 무슨 이야기였는지 기억나?”라고 물어보면아이의 대답은 종종 이렇게 돌아온다.“기억 안 나요.”“그냥 재미있었어요.”“이모가 뭐라고 했는지 모르겠어요.”이때 부모는 의문을 갖게 된다.‘분명히 봤는데 왜 기억을 못 하지?’사실 이 상황은 전혀 이상한 반응이 아니다.오히려 유아 발달 특성상,시선을 고정하고 있다고 해서 실제로 인지적 집중이 이루어진 것은 아닐 수 있다. 유아는 ‘보는 것’보다 ‘듣는 ..

info - care 2025.07.14

유아기 디지털 학습이 실제 놀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

“교육 앱도 놀이 아닌가요?”스마트한 학습보다 아날로그 놀이가 더 중요한 이유요즘 부모들은 아이가 태블릿을 보며,알파벳을 따라 쓰거나 숫자 게임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이 정도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한다.교육용 앱이라면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믿는 경우도 많다.실제로 앱 개발사들은 ‘놀이 기반 학습’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색깔이 화려하고, 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나고,정답을 맞히면 칭찬해주는 구조는 아이에게 흥미를 자극한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궁금증이 생긴다.“디지털로 학습하는 아이의 뇌는,실제 놀이를 하는 아이의 뇌와 어떻게 다르게 반응할까?”이 질문을 그냥 넘기지 않으면우리는 디지털 학습의 이면에 숨겨진 ‘인지 구조의 변화’를 마주하게 된다. 아이의 뇌는 놀이를 통해 ‘문제를 만드는 능력..

info - care 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