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3

부모가 놓치기 쉬운 영상 속 조작형 언어 감별법

아이가 따라하는 말, 그 말투는 어디서 왔을까?유아 콘텐츠를 자주 접한 아이들은 종종부모가 평소 사용하지 않는 특정한 말투나 표현을 따라 하고는 한다.“이건 꼭 사야 해요”, “진짜 최고야”, “이건 없으면 안 돼요”와 같은 문장이 대표적이다.이런 말은 단순히 영상 속 언어를 흉내 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실제로는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한 감정 설계에 아이가 노출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콘텐츠의 목적이 정보 전달이나 단순 재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특정 행동 유도나 소비 자극까지 포함될 경우,아이의 표현력과 사고방식에 조작된 언어 프레임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진다. 조작형 언어란 무엇인가? 왜 유아에게 더 민감하게 작용할까?조작형 언어는 말 그대로,청자의 판단을 유도하거나 제한하는 방식으로 ..

info - care 2025.07.13

유아 미디어 중독보다 더 위험한 ‘몰입 중독’의 심리 구조

“우리 아이는 영상을 보면 세상이 멈춰요.”이게 중독일까요, 아니면 몰입일까요? 한 부모는 말했다.“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여주면 아이는 숨도 안 쉬고 봐요.”“TV를 틀면 이름을 불러도 대답이 없고,강제로 끄면 멍하니 앉아있어요.”이런 모습은 많은 부모들이 한 번쯤 경험해 봤을거다.하지만 대부분은 이렇게 생각하곤 한다.“영상 중독인가 보다. 좀 줄이면 되겠지.”그런데 아이의 행동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단순한 ‘시간 과다 시청’이 아닌,자극에 대한 감정적 몰입 현상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몰입은 시간이 지나도 쉽게 사라지지 않고감정 조절력, 표현력, 사회적 반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독은 ‘시간’의 문제, 몰입은 ‘감정’의 문제많은 사람들이 “중독”이라고 하면 단순히 오래 보는 것만을 떠올린다..

info - care 2025.07.13

유아 대상 미디어 내 잘못된 성역할 고정관념 인식법

“왜 공주는 항상 예뻐야 돼요?” 아이의 질문에 당황한 적 있나요?어느 날 아이가 애니메이션을 보고 나서“왜 여자 친구는 항상 드레스를 입어요?”라고 물은 적이 있었어요.부모로서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넘겼어요.아이들이 보는 유튜브 키즈나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은그저 재미로 만든 이야기라고 생각했거든요.하지만 며칠 후,아이의 놀이 속에서 여아는 예쁜 옷만 입고,남아는 무조건 도와주는 역할을 반복하는 걸 보았을 때비로소 이건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반복된 콘텐츠 속 성역할 고정관념이 아이 행동에 침투한 결과라는 걸 알게 된다. 미디어는 아이의 ‘성별 인식’을 어떻게 만들고 있을까? 아이들은 3세 전후부터 성별에 대한 인식을 시작한다.이 시기에는 남자와 여자라는 구분을 말이나 외모처럼 ‘눈에 보이는 것’으로 ..

info - care 2025.07.13